제주도를 찾아서-1(하추자도) 제주도를 찾아서-1(하추자도) (2018년 11월 8일) 瓦也 정유순 제주도에 갈 때면 아주 먼 외국에 나갈 때 보다 더 설레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면 갈수록 더 신비롭고 새로워지는 제주도를 세차게 몰아치는 비바람을 아랑곳 하지 않고 새벽 비행기에 의탁한다. 평일 새벽이라 비행기 좌석이 여.. 나의 이야기 2018.11.16
낙동강 천 삼백리길을 따라(아홉 번째-2) 낙동강 천 삼백리길을 따라(아홉 번째-2) (2018년10월27일∼28일, 창녕유어면∼밀양초동면) 瓦也 정유순 개비리길 끝 지점에는 용산리마을이 있고 강 건너에는 남강(南江)과 합류하는 지점이다. 남강은 남덕유산(1503m)에서 발원하는 남계천(濫溪川)이 원류이며 지리산 뱀사골과 전북 남원의.. 나의 이야기 2018.11.01
낙동강 천 삼백리길을 따라(아홉 번째-1) 낙동강 천 삼백리길을 따라(아홉 번째-1) (2018년 10월 27일∼28일, 창녕유어면∼밀양초동면) 瓦也 정유순 가을비인지 겨울을 부르는 비인지 모르는 비가 추위를 몰고 온다는 소식에 조금 긴장이 된 채 어제저녁에 서울을 출발했으나, 지난 번 종점인 적포교하류의 낙동강 아침은 조금 쌀쌀.. 나의 이야기 2018.10.31
해남녹우당과 다산초당 그리고 영랑생가 해남녹우당과 다산초당 그리고 영랑생가 (2018년10월19일) 瓦也 정유순 노화도 동천항에서 완도 화흥포항으로 이동하여 다시 육로로 신지도 숙소에 도착하여 등이 바닥에 닿자마자 꿈속으로 빠져든다. 아침에는 신지도 명사십리에서 가볍게 산책하며 기운을 만끽한 다음 해남으로 나와 조.. 나의 이야기 2018.10.23
고산 윤선도와 보길도 고산 윤선도와 보길도 (2018년10월18일) 瓦也 정유순 1636년(인조14) 12월 병자호란 발발하자 인조는 강화도로 피난을 가던 중 이미 함락되어 남한산성으로 들어와 50일 분의 식량과 1만 3천여 명의 군사로 버티다가 45일 만인 1637년(인조15) 정초에 남한산성을 나와 곤룡포 대신 평복을 입고 세.. 나의 이야기 2018.10.21
고흥 거금도와 미르마루길(2) 고흥 거금도와 미르마루길(2) (2018년10월13일∼14일) 瓦也 정유순 2. 우미산 천년의 오솔길과 미르마루길 어제 말벌에 쏘인 자리는 통증은 좀 완화되었지만 부기는 그대로다. 좀 서투른 젓가락질로 조반을 마치고 바로 ‘천년의 오솔길’이 있는 우미산으로 가기 위해 길을 나선다. 우미산(.. 나의 이야기 2018.10.17
고흥 거금도와 미르마루길(1) 고흥 거금도와 미르마루길(1) (2018년10월13일∼14일) 瓦也 정유순 1. 거금도와 소록도 옛날에 고흥에 가려면 자동차로 가든 기차로 가든 보성군 벌교라는 땅을 꼭 거쳐야 했다. 그리고 새벽 이른 시간에 서울을 출발하면 하루가 꼬박 걸려야 하는 거리였다. 그러나 지금은 고속도로로 연결되.. 나의 이야기 2018.10.16
봉화(奉化)지방에서 영주부석사까지(3) 봉화(奉化)지방에서 영주부석사까지(3) (2018년 10월 6일) 瓦也 정유순 오늘 일정의 정점인 부석사(浮石寺)로 간다.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에 있는 부석사는 2018년 6월 30일, 제42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 공주마곡사, 보은법주사, 순천선암사, 해남대흥사, 안동봉정사, 양산통도사와 함께.. 나의 이야기 2018.10.11
봉화(奉化)지방에서 영주부석사까지(2) 봉화(奉化)지방에서 영주부석사까지(2) (2018년 10월 6일) 瓦也 정유순 바래미마을에서는 학록서당, 수오당, 만회고택, 추원사 등 눈여겨 볼만한 소중한 자산들이 많이 있으나 다음 일정 때문에 빗속을 빠져나와 봉화읍 유곡리 닭실마을로 이동한다. 안동권씨 집성촌인 ‘닭실마을’은 낮은.. 나의 이야기 2018.10.11
봉화(奉化)지방에서 영주부석사까지(1) 봉화(奉化)지방에서 영주부석사까지(1) (2018년 10월 6일) 瓦也 정유순 태풍 ‘콩래이’가 남부지방을 강타한다는 일기예보 덕분인지 평소 같았으면 서울을 빠져나가는 고속도로가 복잡하지 않고 그런대로 뻥 뚫린다. 서울을 출발한지 약 두 시간 반 만에 일제강점기 때 독립투사 14분을 배.. 나의 이야기 2018.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