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과 시작 끝과 시작정유순 언제 시작이 있었고언제 끝이 있었던가매 순간순간 끝과 시작은 이어지고지금 서 있는 이 자리는언제나 새롭게 출발하는 곳 그래서 끝이란 것은시작을 알리는 단순한 신호일 뿐 아무리 행복한 끝이라 해도우리는 그 자리에 오래 머물 여유가 없다.(瓦也) #끝 #시작 #순간 #출발 #신호 #행복 #오래 #시간 나의 이야기 2025.04.07
[공유] 남도 문화·낭만 따라 걷는 ‘남파랑길(5)’ - “에코저널” 신개념 환경신문 ‘에코저널’ 남도 문화·낭만 따라 걷는 ‘남파랑길(5)’ 남도의 금강산 ‘달마산’과 미황사http://www.ecojournal.co.kr/news/view.php?idx=159912남도의 금강산 ‘달마산’과 미황사" data-og-description="【에코저널=서울】항상 맞이하는 오늘이지만, 아침에 눈을 뜨면 모든 세상이 새롭다. 밤새 출렁이며 어둠을 삼키던 파도소리는 거대한 바다의 숨소리였던가. 땅끝 일출.(메버릭 김종우)섬 너" data-og-host="www.ecojournal.co.kr" data-og-source-url="http://www.ecojournal.co.kr/news/view.php?idx=159912" data-og-url="http://www.ecojou.. 나의 이야기 2025.04.06
[공유] 남도 문화·낭만 따라 걷는 ‘남파랑길(4)’- “에코저널” 신개념 환경신문 ‘에코저널’ 남도 문화·낭만 따라 걷는 ‘남파랑길(4)’ 이순신 봉양한 이진마을 주민들http://www.ecojournal.co.kr/news/view.php?idx=159907이순신 봉양한 이진마을 주민들" data-ke-align="alignCenter" data-og-description="【에코저널=서울】해안에는 물이 빠져 갯벌이 넓게 펼쳐졌다. 연초도 앞 바닷가에는 겨울의 진객 큰 고니가 다른 철새들과 함께 ‘백조의 호수’를 공연한다. 큰고니와 겨울철새.큰고니.오리" data-og-host="www.ecojournal.co.kr" data-og-source-url="http://www.ecojournal.co.kr/news/view.php?idx=159907" data-og.. 나의 이야기 2025.04.05
구례 산동의 산수유마을 구례 산동의 산수유마을정유순 중국 산동(山東) 처녀가지리산 산골로 시집올 때가져와 심은 산수유 묘목은 천년 넘은 시목(始木)이 되어백두대간 정기 모아 지리산 자락을 노랗게 물들이는데춘삼월 마지막 날 오후옆으로 길게 누운 햇살은봄바람 따라 들어와산수유 그늘 밑에두 다리를 길게 뻗는다.(瓦也) #중국산동 #구례산동 #산수유 #묘목 #시목 #백두대간 #지리산 #춘삼월 #오후 #봄바람 #그늘 나의 이야기 2025.04.05
행운유수(行雲流水) 행운유수(行雲流水)鄭裕淳 바람이 불지 아니하여도 꽃잎은 떨어지고(無風落花, 무풍낙화)비가 오지 아니하여도 열매가 떨어지듯(無雨落果, 무우낙과)지고 떨어지는 것은 숙성과 상관없다네(無關熟未 무관숙미)고로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길은(人生之道, 인생지도)구름 가듯 물 흐르듯 가는 거라네(行雲流水, 행운유수) #행운유수 #무풍낙화 #무우낙과 #무관숙미 #인생지도 #바람 #비 #꽃잎 #열매 #사람 #구름 나의 이야기 2025.04.03
바름과 그름 바름과 그름정유순 바른 것은바람처럼 사라지고그른 것은각질처럼 붙어있네.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하듯…(瓦也) #바름 #그름 #바람 #각질 #양화 #악화 #구축 #바른 #그른 나의 이야기 2025.04.03
[공유] 남도 문화·낭만 따라 걷는 ‘남파랑길(3)’- “에코저널” 신개념 환경신문 ‘에코저널’ 남도 문화·낭만 따라 걷는 ‘남파랑길(3)’ 꽃처럼 예쁜 열매 맺는 ‘먼나무’http://www.ecojournal.co.kr/news/view.php?idx=159678 꽃처럼 예쁜 열매 맺는 ‘먼나무’" data-og-description="【에코저널=서울】아침에 이어 점심까지 땅끝의 남도 맛에 취해 과식할 정도다. 오후에는 남파랑길 정식 코스에서 일탈해 땅끝길 1코스인 땅끝마을∼사구미 구간인 ‘땅끝 바닷길’ 송지면 통" data-og-host="www.ecojournal.co.kr" data-og-source-url="http://www.ecojournal.co.kr/news/view.php?idx=159678" data-og-url="http://www.ecojour.. 나의 이야기 2025.04.02
PPM은 생명의 단위 PPM은 생명의 단위瓦也 정유순 우리가 보통 환경 오염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쓰는 『ppm』은 ‘parts per million’의 이니셜로 우리말로는 백만분의 1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백만분의 1이라는 숫자는 아주 작은 미량에 불과할 것이다. 예를 들면 하천 수질의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측정치를 1ppm, 2ppm으로 표시한다. 정부의 환경기준도 BOD 1ppm의 수질 1등급으로 정하고 생수로도 식용 가능하다고 한다. 그리고 6ppm이상 되면 고도의 약품처리와 정수처리를 하여야 식수로 가능하다. 10ppm 이상이면 용수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즉 백 만분의 10이상이면 물로서는 용도 폐기된 상태에 이른다. 우리가 우리의 육감을 이용하여 셈을 할 때 단 오백을 셈하기가 힘들다고 한다. .. 나의 이야기 2025.04.02
[칼럼 - 정유순] 신흥무관학교 교가 해설 – 한국공공정책신문 [칼럼 - 정유순] 신흥무관학교 교가 해설 – 한국공공정책신문http://www.knpp.co.kr/news/338849 서북으로 흑룡태원 남의 영절의/여러 만만 헌원자손 업어기르고 동해" data-og-host="www.knpp.co.kr" data-og-source-url="http://www.knpp.co.kr/news/338849" data-og-url="http://www.knpp.co.kr/news/338849"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USW8J/hyYyT8AO99/4xk9l3SwGzNOfpSKNPulY1/img.png?width=529&height=557&face=227_146_388_322,https://scrap.kakaocdn.n.. 나의 이야기 2025.04.01
[공유] 남도 문화·낭만 따라 걷는 ‘남파랑길(2)’- “에코저널” 신개념 환경신문 ‘에코저널’ 남도 문화·낭만 따라 걷는 ‘남파랑길(2)’선비정신 표상 삼던 ‘매화' http://www.ecojournal.co.kr/news/view.php?idx=159676 www.ecojournal.co.kr http://www.ecojournal.co.kr/news/view.php?idx=159676http://www.ecojournal.co.kr/news/view.php?idx=159676 나의 이야기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