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 물소리 길6(은행나무길) 양평 물소리 길6(은행나무길) (2020년 2월 18일, 용문역∼용문사) 瓦也 정유순 양평군 용문면 다문리에 있는 용문역이 출발점이다. 용문역(龍門驛)은 중앙선의 철도역으로, 1941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뒤 1950년 한국전쟁으로 소실되었다가 1957년 6월 14일 복구하였으며, 2009년 2월.. 나의 이야기 2020.02.21
양평 물소리 길5(흑천길) 양평 물소리 길5(흑천길) (2020년 2월 11일, 원덕역∼용문역) 瓦也 정유순 양평읍 원덕리에 있는 원덕역(元德驛)은 중앙선의 역(驛)으로 양평역과 용문역 사이에 있으며, 부역명(副驛名)은 추읍산이다. 1939년에 간이역으로 설치되어 1940년 4월 1일 역무원이 있는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나의 이야기 2020.02.14
양평 물소리 길4(버드나무 나루께길) 양평 물소리 길4(버드나무 나루께길) (2020년 2월 11일, 양평역∼원덕역) 瓦也 정유순 버드나무 나루께길 출발점은 양평역이다. 양평역(楊平驛)은 1939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89년 1월 양평역사를 증축하였으며 2008년 구(舊) 역사가 철거되었고, 2009년 12월 23일 국수~용문간.. 나의 이야기 2020.02.13
충무공 이순신 백의종군 길(5코스) 충무공 이순신 백의종군 길(5코스) (2020년 2월 7일, 용주사∼진위면사무소) 瓦也 정유순 용주사를 오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孝行 百行之本(효행 백행지본 : 효는 모든 행동의 근본)’이다. 이는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인 영우원(永祐園)을 1789년(정조 13)에 경기도 양주의 배봉산(.. 나의 이야기 2020.02.10
양평 물소리길 1(문화유적 길) 양평 물소리길 1(문화유적 길) (2020년 2월 4일, 양수역∼국수역) 瓦也 정유순 양평 물소리 길은 양평군을 대표하는 자연 친화적 도보여행 길이다. 양수역에서 용문역까지 60여km에 이르는 이 길은 총 6개의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 코스마다 숙박 시설은 물론 몽양 기념관, 양평 5일장, 용문사,.. 나의 이야기 2020.02.07
충무공 이순신 백의종군 길(3∼4코스) 충무공 이순신 백의종군 길(3∼4코스) (2020년 1월 28일, 의왕시청∼용주사) 瓦也 정유순 조선 명장 이순신(李舜臣, 1545~1598). 본관은 덕수(德水)이고,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다. 서울 건천동(乾川洞, 현재 중구 인현동)에서 이정(李貞)과 초계변씨(草溪邊氏)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 나의 이야기 2020.01.31
아산 탕정둘레길 아산 탕정둘레길 (2020년 1월 18일) 瓦也 정유순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둘레길을 가기 위해 도착한 염치읍 현충사 충무교육원 주차장 한 곳에는 必死卽生 必生卽死(필사즉생 필생즉사)를 초서체로 갈겨 쓴 비석이 눈길을 끈다. 이 글은 충무공 이순신(李舜臣)이 명량대첩(鳴梁大捷)을 하루 .. 나의 이야기 2020.01.22
함백산(咸白山)의 겨울 함백산(咸白山)의 겨울 (2020년 1월 11일) 瓦也 정유순 일제강점기 때 양질의 석탄을 수탈하기 위해 개발한 탄광을 많이 거느렸던 함백산을 오르기 위해 만항재로 이동한다. 만항(晩項)재는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과 영월군 상동읍과 태백시가 만나는 지점에 있는 고개로 남한에서 여섯 번째.. 나의 이야기 2020.01.14
제천 청풍호 자드락길 -괴곡성벽길 제천 청풍호 자드락길 -괴곡성벽길 (2020년 1월 4일) 瓦也 정유순 새해 벽두 새벽길은 충북 제천에 있는 청풍호 자드락길을 찾기 위해 스산한 찬바람을 가르고 어둠 속을 달린다. 제천지역 사람들이 청풍호로 부르는 충주호는 1985년에 완공된 충주댐으로 조성된 인공호수로 면적 67.5㎢, .. 나의 이야기 2020.01.08
그리운 금강산 그리운 금강산세월도 바람도 새들도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가건만 올해도 우리만 못갔네 금강산(瓦也) <2017년 12월 25일 고성통일전망대애서 바라본 금강산 원경> 나의 이야기 2019.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