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530리를 걷다(네 번째, 完)
(구례→망덕포구, 2016. 4. 9∼4. 10)
瓦也 정유순
풀잎에 맺힌 이슬이 채 구르기 전에 어젯밤 늦게 도착한 구례청소년수련원에서 이른 조반을 하고 국사암(國師庵)으로 가기 위해 나선다. 우리나라에서 벚꽃 길로 가장 아름답다고 소문 난 쌍계사 가는 길이 혹시 길이 막힐까 염려가 되어 서둘러 가는 길에 ‘전망 좋은 곳’에서 섬진강과 아침 눈인사를 나눈다. 국사암은 쌍계사의 말사로 신라 성덕왕 21년(722년)에 의상(義湘)의 제자인 삼법(三法)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데 쌍계사 위쪽에 위치한다.
<섬진강의 아침>
그러나 문성왕 2년(840년)에 진감국사(眞鑑國師) 혜소(慧昭)가 화계면에 왔을 때는 폐사로 있었으며, 쌍계사를 세운 혜소가 머물렀다 하여 국사암이라 불렀다는 말만 전할 뿐이고, 1983년에 중창하여 오늘에 이른다고 한다. 이 암자의 문 앞에는 혜소국사의 지팡이에서 싹이 나 자랐다는 1,200년 이상 된 느티나무가 이 암자의 역사를 말하는 것 같다. 이 나무의 특징은 밑 둥에서 가지가 기둥처럼 네 갈래로 뻗은 일목사주(一木四柱)의 거목형태로 사천왕수(四天王樹)라고도 한다.
<국사암의 사천왕수>
국사암에서 쌍계사로 가는 아침 오솔길은 나를 깨우쳐 주는 ‘진리의 길’같다. 한참을 나를 생각하며 가다보면 불일폭포로 가는 삼거리 길에서 우측으로 계단을 타고 내려오면 쌍계사 옆 계곡이 나오는데, 맑고 청아하게 흐르는 물소리와 하얀 꽃송이 3개가 한 묶음 되어 활짝 웃는 삼지닥나무의 은은한 향이 어우러져 천상의 세계에 온 것처럼 몸이 깃털처럼 가벼워진다.
<쌍계사 삼지닥나무>
쌍계사는 9층 석탑이 대웅전을 호위하고 마애불과 부도는 아름다운 조각으로 다듬어져 예술의 경지이다. 쌍계사(雙磎寺)도 국사암과 비슷한 시기에 삼법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지금의 쌍계사를 중창한 진감국사 부도비는 진성여왕 때 최치원(崔致遠)이 비문을 지었다고 하는데, 비문은 우리나라 4대 금석문(金石文) 가운데 으뜸으로 꼽힌다고 한다. 측면으로 서 있는 것이 이채롭고, 비신의 손상이 너무 커서 보조 철 틀로 겨우 모양이 유지되고 있어 안쓰럽다.
<쌍계사 부도>
<쌍계사 진감국사 부도비>
<쌍계사 벚꽃 십리길>
<야생복사꽃(桃花)>
<섬진강 대나무길>
<섬진강의 은모래쉼터 안내>
<섬진강의 팽나무(수령300년)>
<마을 빨래터>
<조씨고가>
<조팝나무와 황매>
<평사리 들과 섬진강-황사로 희미함>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북적거리고, 상업화되어 가게가 즐비한 마을길을 빠져나와 바쁘게 평사리공원으로 가서 섬진강의 환상적인 노을을 맞이한 후, 숙소가 있는 구례청소년수련원으로 돌아오는데 산수유가 더 유명한 구례군 산동면에는 초사흘 초승달과 ‘산수유 가로등’이 짝을 이뤄 환하게 맞이한다.
<섬진강의 노을>
<산수유 형상의 가로등>
<매천사)>
<섬진강의 배나무 밭>
<섬진강의 백년초>
<복두꺼비길 안내>
<섬진강의 어선>
<섬진강의 재첩길>
<나림 이병주문학비>
<복사꽃 그늘 아래 섬진강>
<하동송림>
<하동송림 원경>
<경전선 섬진강 철교>
<섬진강의 갈대밭>
<망덕포구 이정표>
<망덕포구 하류 쪽 광양만>
<섬진강의 기수역>
<윤동주의 원고가 숨겨진 곳>
강물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고, 바다는 강물을 가리지 않는다. 물은 거만하지 않고 자신을 낮추며 아래로 흐른다. 섬진강을 걸으면서 노자의 상선약수(上善若水)가 자꾸 생각나는 이유는 왜일까? ‘지극히 착한 것은 마치 물과 같다’는 뜻으로,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아니하는 이 세상에서 으뜸가는 선의 표본으로 여기어 이르던 말이다.
큰 그릇이 당신이었으면…(完)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청호 오백리 길(여섯 번째) (0) | 2016.04.21 |
---|---|
외씨버선 길 도보여행 동행 기 (0) | 2016.04.19 |
대청호 오백리 길(다섯 번째) (0) | 2016.04.08 |
안양천 벚꽃 터널 (0) | 2016.04.04 |
고불매(古佛梅)와 장성호에서 하루 (0) | 2016.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