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하루 만 보 이상 걷기 1,000일 달성

와야 정유순 2022. 2. 3. 18:43

하루 만 보 이상 걷기 1,000일 달성

(2022년 2월 3일)

瓦也 정유순

 

  인생의 전반기도 훌쩍 지나고 이제는 살아온 과거를 돌아볼 시간이 되었는지 한 걸음 한 걸음 내디딜 때마다 지나온 과거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내 딴에는 그래도 바르고 곧게 살아왔노라고 자부했는데, 그 궤적을 이어보면 얽히고 설킨 실타래 같아 살며시 낯짝이 붉어진다. 아마 시대에 따라 도덕적 윤리적 기준이 많이 굴절되었나 보다.

  그래도 이렇게 길을 걸으며 <나를 돌아본다는 것> 참으로 너무나 소중한 성찰의 기회이고, 이런 기회가 나한테 왔다는 것이 행운이다. 아장아장 걸음마 배울 때는 할아버지 할머니 손에 끌려 재롱을 피웠을 것이고, 어머니 손잡고 고개 넘어 외갓집 갈 때는 조금 걷다가 다리 아프다며 업어 달라고 떼를 썼을 것이다. 학교에 입학하고부터는 들로 산으로 뛰어다니며 시나브로 호연지기(浩然之氣)에 몰두하며 험난한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배웠다.

  세상을 걸으면서 목적지에 다 왔나 싶어 뒤돌아보면 그곳이 새로운 출발점이었다. 세상을 살면서 수많은 길을 걸어왔다고 자부도 해보지만,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것을 보고 겪었지만, 돌이켜 보면 보이는 것은 하얀 백지 뿐이다. 세상의 모든 것을 보려고 오늘도 세상 밖으로 걸어 나왔지만 본 것도 보이는 것도 아무것도 없다.

  기분 좋아서 걸은 게 아니라 걸어서 기분이 너무 좋았다. 같은 해가 뜨고 매일 찾아오는 하루지만 길을 나설 때는 항상 새로웠다. 자연이란 큰 스승이 함께한다. 나는 길을 걸으면서 항상 나에게 물어본다. 나는 누구인가? 우리라는 것은 무엇인가? 어디서 걸어와서 어디로 걸어가는가? 지금 걷고 있는 이 길은 어떤 길인가? 그리고 지금 나는 어디 쯤 서 있는가?

  이렇게 자문할 때마다 가슴이 설렌다. 여기에 대한 답을 알 수 없다. 아니 영원히 그 답은 안 나올 수 있다. 그러니 답이 나올 때까지 걸을 수밖에 없다. 그래 걷자. 가슴이 설렐 때 더 많이 걷자. 이것이 내가 사는 세상이다. 이것이 내가 걸어갈 세상이고 답이다. 세상을 걷는다는 것은 나 자신을 여물게 하는 양서(良書)이자 스승이며 양식(糧食)이다. <정유순의 걷는다는 것 중에서>

  걷기 시작한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1,000일을 달성했다. 옛말에 () 보다는 음식(飮食)으로 몸을 돌보고, 음식보다는 걷는 것이 건강(健康)에 최고(藥補不如食補 食補不如行補, 약보불여식보 식보불여행보)”라는 말이 있다. 오늘의 건강을 위해 내일도 모래도 계속 걷자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깝고도 먼 길-서오릉(2)  (0) 2022.02.04
가깝고도 먼 길 - 서오릉(1)  (0) 2022.02.03
가깝고도 먼 길 - 정릉  (0) 2022.01.29
겨울이 더 좋은 덕유산(德裕山)  (0) 2022.01.20
가깝고도 먼 길-운현궁  (0) 202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