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1월13일부터 1월 19일 까지 5박 7일간 미얀마를 여행하였으나
실제 여행기간은 1월14일부터 1월 18일 까지 5일로 5회에 걸쳐 후기를 올린다.
미얀마에서 5일(3)
(2016. 1. 14 ∼ 1. 18)
瓦也 정유순
3. 까꾸(Kakku)
만달레이 왕궁주변에서 어젯밤을 보내고 삼일 째 연속하여 이른 아침 헤호(Heho)행 비행기에 오른다. 오늘은 여러 소수민족이 모여 사는 동쪽의 산악지대 중 빠오족의 성지인 까꾸(Kakku)로 가기 위해서다. 고원지대로 비행기가 고도를 높일수록 땅은 더 가까워지는 것 같다. 참고로 미얀마의 행정구역은 미얀마를 관통하는 에와야디강 주변의 평야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버마족을 7개의 구로 나누고, 기타 산악지대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은 7개의 주로 구분한다.
<비행기에서 본 고산마을>
<헤호공항 건물>
쉐냥삼거리를 거쳐 해발 1,400m 이상의 고지에 위치한 따웅지를 경유하는데, 고원마을 치고는 상당히 큰 도시로 샨(Shan)주의 주도(州都)다. 마침 어느 상점 앞에서 탁발 공양하는 어린 승려들을 목격하는데, 상점에서는 이들에게 아주 따뜻한 시주(施主)를 한다. 시장이 발달되어 있고 움직이는 인구도 꽤 보인다. 까꾸로 가는 도로 옆 큰 공터에는 소를 사고파는 우시장이 제법 크게 열려 있고, 샨(Shan)주에서 제일 큰 대학교의 캠퍼스도 보인다.
<탁발공양하는 어린 승려들>
<우시장으로 이동하는 소>
산 능선을 타고 두 시간 이상을 달려 까꾸에 도착하여 현지 식으로 점심을 한다. 식당도 빠오족이 운영하는데 음식이 입에 맞는다. 빠오족은 화려한 두건과 겹쳐 입는 검은색 옷 등 전통복장을 고수한다. 이들의 전설에 의하면 옛날에 용어머니가 하늘에서 내려와 마법사와 사랑에 빠져 부부 연을 맺고 아이를 잉태하는데, 잠자는 부인이 용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을 보고 두려워 도망쳤고, 시름에 빠진 용어머니는 알을 낳아 승려에게 맡기고 하늘로 올라갔다고 한다. 그래서 빠오족들은 용의 후예임을 나타내기 위해 용의 머리를 나타내는 두건을 쓰고, 용의 비늘을 나타내는 옷을 입는다고 한다.
<까꾸 사원 내부와 빠오족>
<빠오족 두건을 쓴 모습>
까꾸는 샨주에 있는 지명으로 빠오족의 자치지역이다. 까꾸 파고다는 해발 1,040m이상의 고원에 2,478개의 불탑들로 장관을 이룬다. 불탑 중심에는 2기의 큰 사리탑이 자리하고 있다. 하나는 기원전 3세기경에 인도의 아쇼카 왕이 보낸 보물이 안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바간의 알라웅시투 왕이 보낸 것이라고 한다. 까꾸의 이름은 원래 ‘돼지’를 뜻하는 ‘와꾸’에서 유래되었는데, 아쇼카 왕이 보낸 보물이 땅에 묻힌 채 잊고 있었으나 어느 날 돼지가 이곳을 파 해치는 바람에 다시 발견되었다고 한다. 설명을 들으니 황금돼지가 사리탑을 향해 절을 하고 있는 모습이 정겹다.
<까꾸사원의 고도와 좌표>
<까꾸사원 전경, 우측 흰탑이 사리탑>
<중앙의 사리탑>
이곳에는 지금도 새로운 불탑이 세워지고 있는데, 가족이나 친지의 안녕과 건강을 위해 불탑시주를 한다. 그리고 지금의 까꾸사원이 있기 까지는 싱가포르 사람들의 시주(자본)가 큰 힘이 된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싱가포르 사람들의 이름이 적힌 푯말이 유독 눈에 많이 띠고, 특히 외국 불자들도 불탑시주를 많이 한다고 한다. 맨발로 넓은 지역을 밟고 다니니까 발바닥이 아프다. 더욱이 매끄럽지 못한 곳이나 모래 같은 알갱이가 있을 때는 더 아프다. 그러나 12세기경부터 조성되어 내려온 섬세한 아름다움은 이곳만의 장점이다.
<호수에 비친 까꾸사원>
<가족단위로 예불을 올리는 모습>
인레(Inle)호수로 가기 위해 따웅지를 거쳐 쉐냥삼거리를 경유, 낭쉐마을로 향하여 다시 돌아 나오는 길에 빠오족의 마을을 둘러본다. 주택은 대부분 2층 목재구조로 되어 있는데, 1층은 창고나 다목적용으로 사용하고 2층은 주거용으로 되어 있다. 2층 방 한 가운데는 불씨를 피워 놓고 꺼지지 않게 계속 살린다. 옛날 우리어머니들이 부엌의 불씨를 지키던 모습이 오버랩 된다.
<빠오족마을의 고급주택>
<불씨를 살리는 모습>
집에 계시던 빠오족 할머니는 불시에 들이 닥친 불청객에게 우리의 뻥튀기 같은 쌀 과자를 내 놓고 차와 함께 권하며 반가워한다. 그리고 부엌의 시렁 위에는 그릇들이 가지런히 정돈되어 있다.
<빠오족 할머니>
<쌀 과자>
<부엌의 시렁>
거의 세 시간 이상 산길을 달려 인레(Inle)호수로 가는 낭쉐 선착장에 도착하니 벌써 해가 기운다. 티크목재로 만든 카누 같은 선박에 동력을 장착하여 운행하는데, 배마다 4∼5인용 의자가 일렬로 준비되어 있다. 숙소는 호수 안에 있는 수상호텔이기 때문에 좁다란 하천 같은 물길을 따라 한참을 달리니 시야가 확 트이는 넓은 호수가 나타난다. 약20여분을 달려 호텔 선착장에 도착하여 여장을 푸는데, 새벽녘 추위가 보통이 아니라고 한다.
<숙소까지 타고 갈 보트>
<숙소 침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얀마에서 5일(5-完) - 양곤(Yangon) (0) | 2016.01.29 |
---|---|
미얀마에서 5일(4) - 인레(Inle) (0) | 2016.01.27 |
미얀마에서 5일(2) (0) | 2016.01.25 |
미얀마에서 5일(1) (0) | 2016.01.25 |
석호(潟湖) (0) | 2016.01.19 |